헨리 모건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모건소는 1856년 독일 만하임에서 태어난 미국의 변호사이자 외교관이다. 그는 부동산 투자를 통해 재산을 모았으며, 1912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 선거 운동을 지원하고,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대사로 재직하며 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을 목격하고 이를 미국 정부에 알리는 데 힘썼으며, 이후 관련 내용을 담은 《모건소 대사의 이야기》를 출판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파리 강화 회의에 참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194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 - 제임스 롱스트리트
제임스 롱스트리트는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군의 장군으로, 로버트 E. 리 휘하에서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게티스버그 전투에서의 역할은 논쟁거리이며, 전쟁 후 공화당에 가입하여 공직을 역임했고 군사적 업적과 진보적인 면모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모건소가 - 바바라 터크먼
바바라 터크먼은 역사학 학위 없이도 대중적인 역사서를 저술하여 퓰리처상과 전미 도서상을 수상하고 역사를 문학적으로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는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작가이며,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의 첫 여성 회장을 역임했다. - 모건소가 - 크레이머 모건소
크레이머 모건소는 미국의 촬영 감독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영상 매체에서 활동하며, 특히 《어 콰이어트 플레이스》, 《미스 슬로운》과 같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만하임 출신 - 알베르트 슈페어
알베르트 슈페어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애를 받은 나치 독일의 건축가이자 군수장관으로, 제3제국의 주요 건축 프로젝트들을 담당하며 전쟁 물자 생산 극대화에 기여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 회고록을 통해 나치 시대를 회고했으나 책임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 만하임 출신 - 하칸 찰하노을루
하칸 찰하노을루는 독일 출생 튀르키예의 프로 축구 선수로, 현재 세리에 A의 인터 밀란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뛰어난 프리킥과 패싱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계약 위반 및 AC 밀란 이적 등 논란도 있었다.
헨리 모건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제4대 주오스만 제국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13년 12월 11일 |
임기 종료 | 1916년 2월 1일 |
대통령 | 우드로 윌슨 |
이전 | 윌리엄 우드빌 록힐 |
이후 | 애브럼 I. 엘쿠스 |
출생일 | 1856년 4월 26일 |
사망일 | 1946년 11월 25일 |
출생지 | 만하임, 바덴 대공국 (현재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독일) |
사망지 | 뉴욕 시, 미국 |
배우자 | 조세핀 사이크스 |
자녀 | 헬렌 모건소 폭스 헨리 모건소 주니어 알마 모건소 베르트하임 루스 모건소 |
친척 | 헨리 모건소 3세 (손자) 로버트 M. 모건소 (손자) 바바라 W. 터크먼 (손녀) 앤 W. 사이먼 (손녀) 라페 포머런스 (증손자) 제시카 매튜스 (증손녀) |
소속 정당 | 미국 민주당 |
모교 | 뉴욕 시립 대학교 (문학사) 컬럼비아 로스쿨 (법학사) |
직업 | 변호사, 외교관 |
종교 | 개혁 유대교 |
발음 | |
IPA | /ˈmɔːrɡəntaʊ/ |
2. 어린 시절과 교육
헨리 모건소는 1856년 독일 바덴 대공국의 만하임에서 아슈케나즈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는 11명의 생존 자녀 중 아홉째였으며, 아버지는 라자루스 모겐소, 어머니는 바베트 구겐하임이었다.[3] 그의 아버지는 만하임, 로르쉬, 헤펜하임 등지에 공장을 운영하며 1,000명에 달하는 직원을 고용했던 성공한 엽궐련(담배) 제조업자였다.[3]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변호사로서 경력을 시작했으나, 곧 부동산 투자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5]
그러나 미국 남북 전쟁 중이던 1862년 미국의 수입 담배 관세 부과로 인해 아버지의 사업은 큰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독일의 대미국 담배 수출 중단으로 이어졌다.[3] 결국 1866년 모건소 가족은 미국 뉴욕으로 이주했다.[3] 뉴욕으로 이주한 후에도 그의 아버지는 상당한 자금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재건에 실패했다. 여러 발명품 개발 및 판매 시도나 다른 기업에 대한 투자 등이 성공하지 못했고,[3] 이후 유대교 회당의 기금 모금 활동 등을 통해 수입을 유지했다.[3]
헨리 모건소는 뉴욕 시립 대학교에 진학하여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했다.[3] 그는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변호사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4] 뉴욕의 개혁 유대교 공동체 지도자로 활동하기도 했다.[4]
3. 경제 활동
모건소의 주요 경제 활동은 다음과 같다.
4. 정치 경력
헨리 모건소의 정치 경력은 1912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선거 운동에 기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1911년 윌슨을 처음 만나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그의 정치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26] 모건소는 1912년과 1916년 두 차례에 걸쳐 민주당 재무 위원장을 역임하며 윌슨의 정치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윌슨 행정부 출범 이후, 모건소는 내각 장관직을 희망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신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대사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오스만 제국 내 소수 민족, 특히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박해 문제를 접하게 되었다. 그는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의 참상을 목격하고 이를 미국 정부에 보고했으며, 학살 중단을 촉구하고 구호 활동을 조직하는 등 인도주의적 노력을 기울였다.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 참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모건소는 국제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여했다. 그는 파리 강화 회의에 동유럽 및 중동 문제에 관한 고문으로 참여했으며, 1919년에는 폴란드 내 유대인 박해 문제에 대한 진상 조사를 위해 미국 정부 조사단을 이끌고 현지 조사를 벌여 보고서(모건소 보고서)를 작성했다. 또한 중동 지원 위원회, 그리스 난민 구제 위원회, 미국 적십자사 등 여러 전쟁 관련 자선 단체를 후원하며 구호 활동에도 힘썼다. 1933년에는 제네바 회의에 미국 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참조)
4. 1.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
1912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 선거 운동에 기여한 헨리 모건소는 1911년 윌슨을 처음 만난 이후 그와 유대감을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의 정치 경력에 전환점이 되었다. 비록 내각 장관직을 희망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신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직을 제안받았다. 이는 오스카 스트라우스, 솔로몬 허시 등 이전의 저명한 유대계 미국인들이 맡았던 자리였다. 윌슨은 유대인이 이슬람교도인 투르크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르테(오스만 정부)가 "미국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곳이며, 그 자리에 유대인을 두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다"라고 모건소를 설득했다. 모건소 자신은 시오니스트가 아니었지만 동족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27] 처음에는 거절했으나, 유럽과 성지 여행 후 친구인 랍비 스티븐 와이즈의 격려를 받아 윌슨의 제안을 수락했다.[28] 그는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로 근무했다.대사 부임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 내 미국 시민(주로 기독교 선교사와 유대인)의 안전 확보가 주요 관심사였으나, 모건소는 자신이 가장 몰두한 것은 아르메니아 문제였다고 말했다.[29]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국은 중립을 유지했고, 이에 따라 모건소와 미국 대사관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연합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추가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오스만 당국이 1914년 말부터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을 시작하자, 제국 전역의 미국 영사들은 학살과 강제 추방에 대한 보고를 모건소에게 보내왔다.[30] 축적된 증거를 바탕으로 모건소는 오스만 정부의 만행을 미국 정부에 공식적으로 알리고 개입을 요청했다.[31]


그러나 당시 분쟁에 휘말리기를 원치 않았던 미국 정부는 중립을 유지하며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모건소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의 지도자들과 직접 만나 항의했으나 무시당했다. 특히 내무장관 탈라트 파샤에게 "우리 국민들은 이 학살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질책한 일화는 유명하다.[32] 학살이 계속되자 모건소는 다른 미국인들과 함께 아르메니아인 구호를 위한 공공 모금 위원회, 즉 '아르메니아 잔학 위원회'(훗날 근동 구호로 발전)를 조직했다. 이 위원회는 오늘날 가치로 약 10억달러에 달하는 1억달러 이상의 기금을 모금했다. 또한 모건소는 뉴욕 타임스 발행인 아돌프 오크스와의 친분을 통해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문제가 언론에 지속적으로 보도되도록 노력했고, 그 결과 1915년 한 해에만 145개의 관련 기사가 실렸다.[33]
오스만 정부와의 관계에 지친 모건소는 1916년 대사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회고록 《모건소 대사의 이야기》에서 그 결정에 대해 돌이켜보며 오스만 제국을 "공포의 장소"로 보게 되었다고 썼다. "나는 나의 자원의 한계에 도달했습니다. 나는 그들의 자비와 호의에도 불구하고...100만 명에 달하는 인간의 피로 여전히 얼룩진 사람들과의 매일의 관계를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었습니다."[34] 이 책은 오스만 제국 지도자들과의 대화와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에 대한 그의 생생한 증언을 담아 1918년 말 출판되었다.[35]
1917년 6월, 모건소는 펠릭스 프랭크퍼터와 함께 전쟁부 대표 자격으로 오스만 제국이 전쟁 노력에서 중앙 열강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비밀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임무는 표면적으로 "팔레스타인 유대인 공동체의 상황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6] 1918년 모건소는 미국에서의 공개 연설을 통해 아시리아인과 그리스인 역시 아르메니아인과 "같은 방법"의 추방과 "대량 학살"을 당하고 있으며, 이미 세 민족을 합쳐 200만 명의 아시리아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이 사망했다고 경고했다.[37]
4. 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모건소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해지자, 그는 1919년 3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파리 강화 회의 참석을 위해 떠날 때 미국 하원의원 줄리어스 칸이 제출한 반시온주의 청원에 서명한 31명의 저명한 유대계 미국인 중 한 명이 되었다.[38] 그는 다른 저명한 유대인 대표들과 함께 회의에 참석하여 동유럽과 중동 문제에 관한 고문으로 활동했다.같은 해인 1919년, 모건소는 미국 정부의 폴란드 진상 조사단을 이끌고 현지 조사를 통해 모건소 보고서를 작성했다. 또한 중동 지원 위원회, 그리스 난민 구제 위원회, 미국 적십자사 등 전쟁과 관련된 여러 자선 단체를 후원하며 구호 활동에도 힘썼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1918년에는 《Secrets of the Bosphorus|보스포러스 해협의 비밀eng》을, 1919년에는 대사 시절 경험과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에 대한 내용을 담은 《Ambassador Morgenthau's Story|모건소 대사의 이야기eng》를 출간했다. 이후 1929년에는 《I was sent to Athens|나는 아테네로 파견되었다eng》를 펴냈다.
1933년에는 제네바 회담에 미국 대표로 참석했다.
1946년 11월 25일, 모건소는 뉴욕에서 뇌출혈로 향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유해는 뉴욕주 호손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들 헨리 모건소 주니어는 훗날 재무 장관을 지냈고, 딸 앨마 와트하임은 유명 역사가인 바버라 터크먼의 어머니이다.
5. 죽음
1946년 11월 25일 뉴욕에서 뇌출혈로 90세에 사망했다.[39] 유해는 뉴욕주 호손(Hawthorne)에 안장됐다.
그의 아들 헨리 모건소 주니어는 1934년부터 1945년 7월까지 재무부 장관을 지냈다. 딸 앨마 와트하임(Alma Wertheim)은 은행가 모리스 베르트하임(Maurice Wertheim)과 결혼했고, 역사가 바버라 터크먼의 어머니다. 다른 딸 루스 모건소(Ruth Morgenthau)는 은행가 조지 W. 나움버그(George W. Naumburg)와 결혼한 후 존 나이트(John Knight)와 재혼했다.[39]
6. 가족
바덴 대공국 만하임의 아슈케나즈 유대인 가문에서 11명의 생존 자녀 중 아홉 번째로 태어났다.[3] 그의 부모는 라자루스 모겐소(Lazarus Morgenthau)와 바베트 (구겐하임) 모겐소(Babette (Guggenheim) Morgenthau)였다.[3] 아버지는 만하임, 로르슈, 헤펜하임에 공장을 둔 성공적인 엽궐련 제조업자였으나, 미국 남북 전쟁 중 담배 관세 문제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모건소 가족은 1866년 뉴욕으로 이민했다. 아버지 라자루스는 뉴욕에서 사업 재기에 실패했지만, 헨리 모건소는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고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을 졸업했다.
1882년 조세핀 사이크스(Josephine Sykes)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9]
이름 | 주요 활동 및 특징 | 배우자 |
---|---|---|
헬렌 | 정원 작가, 방송인, 강연자[10] | 모티머 J. 폭스 (건축가, 은행가, 조경가)[10] |
알마 | 예술품 수집가, 예술 및 음악 후원자[11], 역사가 바버라 터크먼의 어머니 | 모리스 웨르타임 (투자 은행가, 예술품 수집가, 자선가)[11] |
헨리 주니어 | 재무 장관 (1934–1945)[39] | |
루스 | 시민 지도자, 분수 하우스(Fountain House) 설립자, 맨해튼 음악 학교 이사, 헨리 모건소 보호 구역 기증[14][15] | 조지 워싱턴 노움버그 (은행가, 엘칸 나움버그의 아들)[12][13], 이후 존 나이트[39] |
그의 조카 로버트 E. 사이먼(Robert E. Simon, 1877-1935)은 모건소와 함께 부동산 사업에서 일했으며[16], 아돌프 옥스의 타임스 스퀘어 부지 매입[17][18] 및 카네기 홀 매입(1925)[19][20][21] 등에 관여했다. 로버트 E. 사이먼의 아들인 로버트 E. 사이먼 주니어는 카네기 홀 매각 자금으로 버지니아주에 레스턴 신도시를 건설했다.[24][25]
헨리 모건소는 1946년 11월 25일 뉴욕 시에서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향년 90세였다. 유해는 뉴욕주 호손(Hawthorne)에 안장되었다.[39]
7. 저작물
헨리 모건소는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는 그의 개인 서류 약 30,000건이 소장되어 있다.[1][2] 주요 저작물은 다음과 같다.
- ''모겐소 대사의 이야기(Ambassador Morgenthau's Story)'' (1918):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 시절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특히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3] ([https://archive.org/details/ambassadormorge00morggoog 온라인])
- ''보스포러스의 비밀들''(The Secrets of the Bosphorus)'' (1918)[4] ([https://archive.org/details/secretsofbosphor00morg 온라인])
- 모겐소 보고서(The Morgenthau Report) (1919): 제2 폴란드 공화국 내 유대인들의 처우에 관한 보고서이다.[5][6]
- ''평생 동안''(All in a Lifetime)'' (1925)[7] ([https://archive.org/details/bub_gb_P-UEAAAAYAAJ 온라인])
- ''나는 아테네로 보내졌다''(I was sent to Athens)'' (1929): 그리스 난민들과 함께 활동했던 시기를 다룬다.[8][9] ([https://openlibrary.org/books/OL6734490M/I_was_sent_to_Athens openlibrary.org])
- ''국가의 살해''(The Murder of a Nation)'' (1916)[11] (1974년 판본에는 W. N. 메드릭트의 서문 포함[10])
'''일기'''
- ''보스포러스의 미국 외교: 모겐소 대사의 일기, 1913–1916''(United States Diplomacy on the Bosphorus: The Diaries of Ambassador Morgenthau, 1913–1916)'' (2004): 아라 사라피안(Ara Sarafian) 편저. ISBN 1-903656-40-0.[12]
'''공식 문서 (편저)'''
8. 대중문화
테리 조지 감독의 2016년 드라마 《약속》은 오스만 제국 말기를 배경으로 하며, 이 영화에서 헨리 모건소 역할은 제임스 크롬웰이 연기했다.[40]
참조
[1]
서적
The Burning Tigris: The Armenian Genocide and America's Response
HarperCollins
[2]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Greenhaven Publishing LLC
2015
[3]
웹사이트
"Collection: Morgenthau Family Collection | the Center for Jewish History ArchivesSpace"
http://findingaids.c[...]
[4]
서적
Power, Faith, and Fantasy: America in the Middle East 1776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5]
문서
The Burning Tigris
[6]
뉴스
"Col. Astor Sells a Block,"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00-12-06
[7]
간행물
"The Impact of the IRT on New York City,"
https://www.nycsubwa[...]
Historical American Engineering Record
[8]
웹사이트
Morgenthau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12-23
[9]
웹사이트
About Henry Morgenthau
https://web.archive.[...]
[10]
뉴스
HELEN FOX DEAD; A GARDEN EXPERT; Writer Lectured Widely on Horticultural Topics
http://timesmachine.[...]
2022-04-09
[11]
웹사이트
Mrs. Wertheim to Marry Paul L. Weiner Today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 Agency
1934-01-24
[12]
웹사이트
Naumburg
https://www.jewishvi[...]
2022-03-29
[13]
뉴스
George W. Naumburg Is Dead; Banker and Philanthropist, 94; He Specialized in Children's Welfare in Several Areas Assisted Refugees
http://timesmachine.[...]
2022-04-09
[14]
뉴스
MRS. RUTH M. KNIGHT, A CIVIC LEADER, 77
https://www.nytimes.[...]
2022-04-10
[15]
웹사이트
The Henry Morgenthau Preserve
https://www.henrymor[...]
2022-04-10
[16]
문서
Morgenthau: Power, Privilege, and the Rise of an American Dynasty
[17]
뉴스
One Times Square
https://en.wikipedia[...]
2024-09-23
[18]
뉴스
NYT's 1905 Tower history.
https://www.nytimes.[...]
[19]
웹사이트
https://inline.carne[...]
2024-09-24
[20]
뉴스
CARNEGIE HALL IS ABOUT TO BE SOLD, BUT WON'T CLOSE YET; Clause in Sale Contract Safeguards Concerts There for the Next Five Years.
https://timesmachine[...]
2024-09-25
[21]
뉴스
NEW LEADER RISES IN CITY REAL ESTATE; Carnegie Hall Deal Discloses Robert E. Simon as a Manipulator of Millions. PROPHET OF 57TH STREET He Foretold Fifteen Years Ago the Great Developments Which Are Now Accomplished Facts. NEW LEADER RISES IN CITY REAL ESTATE
https://timesmachine[...]
2024-09-25
[22]
웹사이트
"New York Philharmonic {{!}} History, Conductor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25
[23]
뉴스
Philharmonic Hall Opens Today And With It a New Era for City
https://timesmachine[...]
2024-09-25
[24]
문서
The Rose Museum, Carnegie Hall. See history and clipping display on this topic.
[25]
웹사이트
https://www.nytimes.[...]
[26]
문서
The Burning Tigris
[27]
문서
Power, Faith, and Fantasy
[28]
문서
The Burning Tigris
[29]
문서
The Burning Tigris
[30]
문서
"Daily at first and then almost hourly, the reports reached Morgenthau's desk"
[31]
문서
Power, Faith, and Fantasy
[32]
문서
Power, Faith, and Fantasy
[33]
문서
Power, Faith, and Fantasy
[34]
문서
Power, Faith, and Fantasy
[35]
서적
Ambassador Morgenthau's Story
Doubleday
1918
[36]
서적
The Enigma of Felix Frankfurter
Basic Books
[37]
논문
Native Christians Massacred: The Ottoman Genocide of the Assyrians during World War I
https://ssrn.com/abs[...]
2006-12
[38]
서적
The Zionist Connection II: What Price Peace?
http://www.mepc.org/[...]
North American
1982
[39]
웹사이트
Mrs. Ruth M. Knight, a Civic Leader, 77
https://www.nytimes.[...]
1972-05-18
[40]
뉴스
'The Promise' Premieres in New York with Full Cast, Filmmakers, and UN Dignitaries
https://armenianweek[...]
2017-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